본문 바로가기
세상살아가는이야기들

민사고 폐교, 폐지 시기? 이유는? 전 반대입니다

by 아놀드양 2021. 5. 15.
반응형

민사고 폐교, 폐지 시기? 이유는? 전 반대입니다 

 

 

민사고 다들 아시죠 한복입고 건물도 엄청나게 멋지고

거기졸업한애들은 꼴찌들이 연고대.. ㅎㅎ 대부분

미국 영국의 우수한 유명대학으로 입학하며 세계로

뻗어나갑니다. 

 

한때 민사고 이야기를 바탕으로 tv드라마나 시리즈물도

많이 나왔었고 뉴스에도 많이 나왔었습니다.

그런 민사고가 폐지 소식이 들리네요.

 

민사교 완전 없애는 시기는 2025년으로 예상합니다.

 

 

민사고 폐지 소식은 예전부터 꾸준히 나오다가

민사고 폐교가 기정 사실화되면서 아직까지 100%

확실한건아니지만 일반고로 전환이 될것같아 보이네요.

 

사실 저는 민사고 폐교를 그렇게 찬성하는 입장은 아닙니다.

왜냐 하면

 

수재들하고 일반평범한 두뇌를 가진 아이들하고 섞어놓고

공부시키면 발전이 없습니다, 수재들은 수재들끼리 붙여놔야지

서로 서로 좋은것들은 공유하고 도움받고 또 그  안에서 서로 치열하게

자극받고 경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인에게도 더 큰 발전이 있을수있고

더 똑똑 해 질 확률이 높시때문에 민사고같은 곳에서 따로 분리시켜 교육

하는게 맞습니다.

 

 

 

민사고 폐지의 일반전 목적은 그렇습니다

 

=> 수준높은 교육 보다는 공평하게 누구에게나 일반교육을.

 

다른 뜻은 교육자체를 하향평준화 시키는 겁니다. 그게 주체사상의

목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ㅎㅎ

 

 

시대 역행하는 교육평준화
 
선진국에서는 이미 논쟁이 끝난 평준화 교육을 현 정권이 계속 부여잡고 있는 이유는 뭘까. 김중백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가와 개인을 바라보는 교육철학의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국가의 간섭을 강조하는 집권세력이 ‘결과의 평등’이라는 이룰 수 없는 신념을 교육에도 적용하려 한다”고 했다. “평등한 기회를 보장하되 학생 개개인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인정해야 하는데 그걸 억누르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런 조짐은 정권 초기부터 보였다. 2018년 교육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자유민주주의’란 표현을 ‘민주주의’로 바꿨다. 김 교수는 “다수결의 논리와 인민의 평등을 내세우는 민주주의는 자유주의와 결합했을 때 제 기능을 발휘한다”며 “‘자유’를 지우려는 집권세력의 행태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명시한 헌법 정신에 위배된다”고 했다.
 
자사고·외고가 없어지면 교육 불평등이 사라질지도 미지수다. “자사고가 (교육특구인) 수성구 쏠림 현상을 완화했다”는 우동기 전 대구시교육감의 말처럼 교육계에선 오히려 “자사고 폐지 후 학생들이 강남으로 더욱 몰리게 될 것”(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이사)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소득 증대와 함께 늘어난 다양한 교육욕구는 어떻게든 분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김중백 교수의 말을 들어보자.
 
“10인 1색(획일화)의 시대에서 1인 10색(다양화)의 시대로 변했다. 1인당 GDP가 1980년 1704달러에서 1990년 6516달러로 늘 때는 개성이 ‘탄생’했다. 지금은 3만1838달러(2019년 기준)다. 한 사람의 개성도 여럿으로 분화됐다. 소득이 늘어난 만큼 다양한 욕구가 생긴다. 여기에 출산율은 급감했다. 돈은 많아졌는데 자녀수는 줄었으니 더욱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국가가 개인의 선택과 다양성을 무시하고 평준화를 강조하는 것은 선진국에선 볼 수 없는 행태다.”
 
이런 혜안을 갖고 김대중 정부가 처음 자립형사립고(현 자사고)를 만들고 ‘교육 다양화’ 정책을 펼쳤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입시정책은 수없이 변했지만,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정부로 이어지면서 다양성의 철학만큼은 유지됐다. 그 결과 지금 같은 영재학교, 마이스터고 등 여러 형태의 학교가 생겨났다.

민족주체학원 북한스멜이 강하게나는 명칭입니다.


그걸 임기 1년 남은 정부가 뒤집으려고 한다. 다양성이라는 시대적 가치를 훼손하면서 말이다. 그러면서 집권세력 중엔 자신의 자녀가 외고·자사고를 나온 경우가 많다. 수십 년간 있어 왔던 선택의 기회조차 박탈하는 것, 그것이 문재인 정부가 말하는 교육정의일까.


폐교설 입장 밝힌 한만위 교장

“일반고가 되면 누가 ‘민사고’를 오려고 하겠습니까.

‘민족주체성교육과 영재교육으로 지도자를 양성한다’는 건학 이념과도 맞지 않습니다.”
한만위 민족사관고(민사고) 교장(사진)은 14일 이같이 밝혔다. “교육부

시행령 개정에 따라 2025년 민사고가 일반고로 전환되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게 그의 얘기다.
한 교장은 “일반고로 전환하면 자율형사립고(자사고)여서 받고 있는 학생당 연 2600만원가량의 학비를 받지 못한다”며 “석·박사 수준의 교사들이 소수정예로 운영하던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없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사고다운 교육을 하지 못하면 학부모도, 학생도 학교를 선택하지 않을 테니 존립은 어렵다”고 했다.

 

한 교장은 “문재인 정부의 자사고 일괄 폐지 방침에 문제가 많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996년 개교 이후 엘리트 교육의 산실이었던 민사고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려는 고교학점제, 교과교실제를 일찌감치 실행한 학교다.
그는 “민사고의 모든 교사들은 개별 연구실에서 5~7명의 학생과 수업한다”며 “학생들이 듣고 싶은 수업을 신청하고, 원하는 수업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할 수 있어 수업만 200여 개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미 정부가 시행하려는 정책의 모범인 학교를 선도학교로 만들기는커녕 없애려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성토했다. 민사고로서는 ‘탈출구’도 마땅찮다. 한 교장은 “대안교육 특성화고 전환을 고려 중이지만 교육당국과의 협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헌법소원만이 유일한 탈출구”라고 토로했다.

 

민사고 등 전국 자사고·외고는 “일반고 일괄 전환은 위헌”이라며 헌법소원을 지난해 제기한 바 있다. 한 교장은 “대한민국 공교육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면 민사고는 자연스레 역사의 무대에서 퇴장할 것”이라며 “학부모들이 왜 비싼 학비를 내며 깊은 산속 학교에까지 보내고 있는지부터 정부가 돌아봐야 한다”고 했다.

 

 

일단 저는 아까 언급했다시피 아주 특출한 애들은 특출한 애들끼리

함께 있고 공부할때  그들 수준에맞는 고수준 교과과목이라던지

차원높은 지식을 쌓고 배움을 얻고 공부를 하면 아이들과 교육

수준, 교사진까지 더해져서 더욱 더 시너지 효과가 난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학비가 비싸서 그들만의 리그 아니냐 란 말도 있지만, 우수한

두뇌에 실력만 뛰어나고 입학할 자격여건만 된다면 갖가지

지원 받는 방법도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웃여러분들 생각은 어떤지요?

 

 

반응형

댓글